뚜sh뚜sh

메모리의 주소 공간 본문

컴퓨터 공학(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메모리의 주소 공간

뚜sh뚜sh 2023. 5. 17. 15:10

CPU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은 메모리 몇 번지에 무엇이 저장되어 있는지 다 알지 못함

-> 메모리에 저장된 값들은 시시각각 변하기 떄문임

  • 새롭게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새롭게 메모리에 적재
  • 실행이 끝난 프로그램은 메모리에서 삭제
  •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더라도 실행할 때마다 적재되는 주소는 달라짐

 

 

 

물리 주소와 논리 주소

물리 주소

  • 메모리 입장에서 바라본 주소
  • 말 그대로 정보가 실제로 저장된 하드웨어상의 주소

논리 주소

  • CPU와 실행 중인 프로그램 입장에서 바라본 주소
  • 실행 중인 프로그램 각각에게 부여된 0번지부터 시작하는 주소

물리 주소와 논리 주소의 변환

  • MMU(메모리 관리 장치)라는 하드웨어에 의해 변환
  • MMU는 노리 주소와 베이스 레지스터(프로그램의 기준주소) 값을 더하여 논리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베이스 레지스터 : 프로그램의 가장 작은 물리 주소(프로그램의 첫 물리 주소)를 저장하는 셈

논리 주소 : 프로그램의 시작점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인 셈

 

 

 

메모리 보호

한계 레지스터

  • 프로그램의 영역을 침범할 수 있는 명령어의 실행을 막음
  • 베이스 레지스터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가장 작은 물리 주소를 저장한다면, 한계 레지스터는 논리 주소의 최대 크기를 저장
  • 베이스 레지스터 값 <= 프로그램의 물리 주소 범위 < 베이스 레지스터 + 한계 레지스터 값

이처럼 CPU는 메모리에 접근하기 전 접근하고자 하는 논리 주소가 한계 레지스터보다 작은 지를 항상 검사해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독립적인 실행 공간을 확보 & 하나의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을 침범하지 못하게 보호함

'컴퓨터 공학(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양한 보조기억장치  (0) 2023.05.18
캐시 메모리  (0) 2023.05.17
RAM의 특징과 종류  (0) 2023.05.17
명령어 집합 구조, CISC와 RISC  (0) 2023.05.17
명령어 병렬 처리 기법  (0) 2023.04.2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