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avacript
- 화살표 함수
- 중첩 구조 분해
- 이메일 전송
- Mongoose
- 카카오로그인
- MongoDB
- nodemailer
- nest
- 객체
- TypeScript
- 캐러셀
- nestjs
- AGGREGATE
- context switch
- react-slick
- 참조에 의한 객체 복사
- 위크셋
- JSON.stringify
- nextjs
- 로그스태시
- 카카오 소셜로그인
- 자바스크립트
- 구조 분해 할당
- JavaScript
- 위크맵
- JSON.parse
- logstash
- Map
- DB
- Today
- Total
목록Framework/React Native (6)
뚜sh뚜sh
해결 방법 - 터미널 창에 아래 코드 차례대로 입력 watchman watch-del-all watchman shutdown-server
1. 라이브러리 설치 npx expo react-native-dotenv yarn add -D @types/react-native-dotenv 2. babel.config.js 아래 코드 추가하기 - moduleName은 import 할 때 명시한 이름으로 가져올 수 있도록 설정한 것 plugin: [['module:react-native-dotenv', { moduleName: "@env", path: ".env" }]] 3. .env 파일 생성 - 세미콜론, 콤마 아무것도 사용하지 않음 URL=http://naver.com 4. .env.d.ts 파일 생성 - 타입스크립트 환경에서는 env.d.ts 파일을 생성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환경 변수 타입을 지정해야 함 - 해당 파일과 내용을 추가하지 않으면,..
expo로 카카오 소셜 로그인을 구현하려 하니 정말 너무너무너무 힘들었다... 카카오 로그인 버튼을 만든 후에 그 버튼을 누르면 카카오 로그인하는 페이지가 모달로 켜지도록 만들었다 const SignIn = ({ navigation }: any) => { const url = Linking.useURL(); // 카카오 모달 오픈 여부 const [modalVisible, setModalVisible] = useState(false); /** * 카카오 로그인 버튼을 눌렀을 때 작동하는 함수 */ const onKakaoLoginHandler = async () => { setModalVisible(true); }; // 백엔드에서 받은 url을 기준으로 회원가입과 메인 페이지로 구분 useEffect(..
웹 개발처럼 React Native도 프록시 설정을 해줘야한다고 생각하고 webpack.config.js에 proxy 설정도 해보고 package.json에도 proxy 설정을 해봤는데 안먹어서 굉장히 애먹고 있었다... 하지만 집념의 구글링을 통해 expo go app에서 api를 사용하려면 proxy 설정은 필요없고 api를 보낼 때 localhost가 아닌 wifi의 아이피 주소로 보내야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보냈더니 성공했다 !!!!!!!!!! 아이피 주소 확인 ipconfig getifaddr en0
해결방법 - app.d.ts 파일을 생성한 후 아래 코드를 넣어준 다음 vscode를 껐다가 키면 해결됨 ! ///
1. yarn 설치 brew install yarn 2. 다음 명령어를 쳐서 expo-cli를 설치 yarn global add expo-cli 하려 했으나 "The engine "node" is incompatible with this module. Expected version ">=12 yarn config set ignore-engines true 를 입력한 후 2번 명령어를 입력하면 잘 설치됨 하지만 단계를 거칠수록 이 떠서 노드를 아예 삭제하고 lts 버전으로 다시 깔고 1번부터 다시 실행했더니 없이 잘됨 3. 새로 만들 프로젝트 이름 설정 expo init 프로젝트이름 4. 프로젝트 시작 yarn st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