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캐러셀
- Mongoose
- AGGREGATE
- 카카오 소셜로그인
- 구조 분해 할당
- logstash
- MongoDB
- nestjs
- Map
- 로그스태시
- 화살표 함수
- 이메일 전송
- nextjs
- 참조에 의한 객체 복사
- javacript
- context switch
- 카카오로그인
- DB
- 객체
- JSON.stringify
- nodemailer
- nest
- 자바스크립트
- react-slick
- 위크셋
- 중첩 구조 분해
- 위크맵
- TypeScript
- JSON.parse
- JavaScript
Archives
- Today
- Total
뚜sh뚜sh
[Python] Sphinx 라이브러리 사용법 본문
Sphinx란?
- 파이썬을 위한 문서화 라이브러리
- 소스코드로부터 문서를 정적으로 생성하는 도구
Sphinx 설치방법
- cmd를 통해 가상환경을 생성한 폴더로 경로 지정 후, 가상환경 내에 아래 명렁어를 입력함
$ pip install Sphinx
Sphinx 시작하기
- 가상환경 폴더 내에 docs라는 폴더를 생성한 다음, 그 폴더에서 sphinx를 시작함
- sphinx-quickstart : 스핑크스 시작하는 명령어
$ mkdir docs
$ cd docs
$ sphinx-quickstart
- 위의 코드를 실행한 후,
- Separate source and build direcories (y/n) [n]:
- 이라는 코드가 생성되며, 이 코드의 의미는 source와 build 폴더를 별도로 관리할 지 하나로 관리할 지에 대한 선택
- source 폴더는 우리가 작성한 코드가 되고,
- build 폴더는 우리가 작성한 코드를 html, css, js로 변환된 파일이 저장되는 공간
빌드 (html 생성)
- source에 있는 파일을 html 결과파일로 바꿔주는 명령어
- make.bat이 생성된 root 경로에서 실행
$ make html
- 그 후 build/html/index.html 파일을 열면, 코드가 문서화된 내용이 html로 보임
스핑크스 테마 설치 & 설치한 테마 적용
- 테마 설치 명령어
$ pip install 테마이름
- source/conf.py 를 열어서 html_theme = '설치한 테마이름' 으로 저장하면 됨
- 그 후 make html 명령어를 실행시킨 후 index.html 파일을 열어서 테마 적용을 확인할 수 있음
'Language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가상환경 생성하기 (0) | 2022.04.14 |
---|---|
[Python] 아나콘다 가상환경 삭제하기 (0) | 2022.04.14 |
[Python] selenium과 beautifulsoup을 사용해서 다나와 페이지의 엔진오일 크롤링하기(1) (0) | 2022.04.13 |
[Python] random 모듈 (0) | 2022.04.13 |
[Python] random 모듈을 사용하여 함수 만들기 (0) | 2022.04.13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