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nestjs
- react-slick
- logstash
- 중첩 구조 분해
- context switch
- 이메일 전송
- JSON.stringify
- 화살표 함수
- 카카오로그인
- 위크맵
- DB
- nest
- 자바스크립트
- JSON.parse
- TypeScript
- 캐러셀
- Map
- MongoDB
- 구조 분해 할당
- AGGREGATE
- nextjs
- nodemailer
- 로그스태시
- JavaScript
- 참조에 의한 객체 복사
- 카카오 소셜로그인
- javacript
- Mongoose
- 객체
- 위크셋
Archives
- Today
- Total
뚜sh뚜sh
0과 1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 본문
정보 단위
- 비트(bit) : 0과 1을 표현하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
- n비트로 2^n가지의 정보 표현 가능
- 프로그램은 수많은 비트로 이루어져 있음
- 다만, 평소 "이 파일은 8,920,120 비트야" 라고 표현하진 않음
- 비트보다 더 큰 단위를 사용(ex. 바이트, 킬로바이트, 메가바이트, 기가바이트, 테라바이트 ...)
- 1바이트는 8비트, 1킬로바이트는 1000바이트, 1메가바이트는 1000킬로바이트, ...(이후 바이트들은 앞 단위의 1000배랑 같음)
워드(word)
-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크기 단위
- 하프 워드(half word) : 워드의 절반 크기
- 풀 워드(full word) : 워드 크기
- 더블 워드(double word) : 워드의 두 배 크기
이진법(binary)
- 0과 1로 수를 표현하는 방법
- 숫자가 1을 넘어가는 시점에 자리올림
- 수학적 표기 방식은 5(2)이며, 코드상 표기 방식은 0b5이다.
-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진법은 숫자가 9를 넘어갈 때 자리올림하는 십진법(decimal)
- 0과 1로 음수 표현하기 : 2의 보수 (어떤 수를 그보다 큰 2^n에서 뺀 값 = 모든 0과 1을 뒤집고 1 더한 값)
십육진법
- 이진법으로는 숫자의 길이가 너무 길어짐
- 그래서 컴퓨터의 데이터를 표현할 때 십육진법도 많이 사용(수가 15를 넘어가는 시점에 자리올림)
- 십육진법은 0에서 9까지는 그대로 표현하며 10부터 15까지는 순서대로 A, B, C, D, E, F로 표현함
- 수학적 표기 방식은 15(16)이며, 코드상 표기 방식은 0x15이다.
이진수에서 십육진수, 십육진수에서 이진수로 변환 방법
- 이진수에서 십육진수로 변환할 때는 한 자리씩 십육진수로 바꾼 다음 이어 붙이면 됨
- 십육진수에서 이진수로 변환할 때는 4자리씩 끊은 후 4자리를 이진수 한 자리로 만들어서 붙이면 됨
'컴퓨터 공학(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U와 제어장치 (0) | 2023.04.27 |
---|---|
소스 코드가 명령어가 되기까지 (0) | 2023.04.26 |
명령어의 구조 (0) | 2023.04.26 |
소스 코드와 명령어 (0) | 2023.04.26 |
0과 1로 문자를 표현하는 방법 (0) | 2023.04.25 |
Comments